
https://www.youtube.com/watch?v=-9UobbD1loc

TC-NCF는 반도체 칩 사이에 NCF라는 필름을 덧대고 열과 압력을 가해 칩을 결합하는 공정이다. 삼성전자는 어드밴스드 기술을 적용해 얇은 반도체 칩을 많이 쌓을 때 발생하는 '휘어짐'을 최소화했다. 종전보다 얇은 필름(NCF)을 사용해 칩 사이 간격을 줄였고, 크기가 다른 범프(칩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돌기)를 적용해 열 방출 성능과 수율을 높였다.
업계는 삼성전자의 어드밴스드 TC-NCF 기술 개발을 의미 있게 평가했다. 기존 TC-NCF는 SK하이닉스가 적용한 MR-MUF 공정 대비 낮은 열 방출 성능 및 수율 등 단점이 지적됐는데 이를 삼성전자가 보완한 것이기 때문이다.
MR-MUF는 반도체 칩 사이 회로를 보호하기 위해 액체 형태의 보호재를 주입해 굳히는 공정이다. SK하이닉스도 과거에는 TC-NCF를 적용했지만 HBM2E(3세대)부터 독자 개발한 MR-MUF 공정을 채택했다. HBM3(4세대) 생산에는 어드밴스드 MR-MUF 기술을 적용해 공정 효율과 제품 성능 안정성을 높였다. SK하이닉스가 HBM 시장 1위를 유지하는 비결 중 하나로 MR-MUF 공정 도입이 꼽힌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4030413415923003
"삼성 '필름'이냐, 하이닉스 '액체'냐"…치열해진 '패키징 경쟁' - 머니투데이
HBM(고대역폭메모리) 시장 주도권을 쥐기 위한 '패키징 기술 경쟁'이 격화하고 있다. SK하이닉스가 독자 개발한 패키징 기술을 기반으로 4세대 HBM 시장을 선도하는 가운데 삼성전자는 SK하이닉스
news.mt.co.kr
https://www.chosun.com/economy/tech_it/2024/05/03/R2OOFKI4GVBKFOVO6YP7C4MI7I/
만년 2등서 AI메모리 1위로… 삼성 제치고 반도체 판 뒤집은 ‘하이닉스 매직’
만년 2등서 AI메모리 1위로 삼성 제치고 반도체 판 뒤집은 하이닉스 매직 AI반도체 올해도 내년도 완판 1분기 반도체 영업이익 삼성 추월
www.chosun.com
https://www.chosun.com/economy/tech_it/2024/04/25/RJDHH4SG7RGD7BZDGIQVOXX2XU/
칩 얼마나 잘 쌓고 조립하나… 나노 이어 ‘패키징 전쟁’
칩 얼마나 잘 쌓고 조립하나 나노 이어 패키징 전쟁 미세 공정 한계 봉착하자 반도체 대기업들 수조원씩 투자
www.chosun.com
https://www.chosun.com/economy/tech_it/2024/04/25/YN4K4FRESBF3ZMJMPXH6GI5NFU/
지금 앞서는 SK, 미래 노리는 삼성... HBM 공법결정적 차이는
지금 앞서는 SK, 미래 노리는 삼성... HBM 공법결정적 차이는 하이닉스, 한 번에 가열해 포장 삼성은 필름 한 장씩 깔아가면서 만들어
www.chosun.com
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22984
HBM 적층경쟁...삼성·SK "12단까지는 TC·MR본딩,이후 하이브리드본딩 적용"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생성형 AI(인공지능) 확산과 맞물려 고대역폭메모리(HBM) 수요가 폭증하는 가운데, 메모리 업계에서 적층 경쟁이 치열하다. HBM은 더 높이 쌓아 올릴수록 더 많은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다. 현재 HBM
www.thelec.kr
https://news.skhynix.co.kr/post/interconnection-for-advanced-packaging
어드밴스드 패키징을 견인하는 인터커넥션 기술의 가치와 SK하이닉스 패키징 기술 혁신
어드밴스드 패키징의 핵심은 패키징에서의 연결 즉, ‘패키징 인터커넥션(Interconnection)’ 기술이다. 이 글에서는 패키징 기술의 진화와 이에 기여하고 있는 SK하이닉스의 기술력 및 성과를 다뤄
news.skhynix.co.kr
삼성전자, 업계 최초 36GB HBM3E 12H D램 개발
삼성전자가 업계 최초로 36GB(기가바이트) HBM3E(5세대 HBM) 12H(High, 12단 적층) D램 개발에 성공하고 고용량 HBM 시장 선점에 나선다. 삼성전자는 24Gb(기가비트) D램 칩을 TSV(Through-Silicon Via, 실리콘 관통
news.samsungsemiconductor.com
https://dealsite.co.kr/articles/119413
SK하이닉스, MR-MUF 독점…삼성 'NCF' 유지 - 딜사이트
삼성전자, 서버용 D램 모듈에만 MUF 적용
dealsite.co.kr
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26617
[영상] NCF vs MUF...삼성 HBM을 둘러싼 소문과 진실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진행 : 디일렉 이도윤 편집국장출연 : 디일렉 노태민 기자 -반도체 얘기를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노태민 기자 모셨습니다. 안녕하세요.“안녕하세요.”-AI가 반도체 열기도 열풍이에요.“엔비
www.thelec.kr
'반도체 > 후공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미피디아] MR-MUF란? (1) | 2024.04.18 |
---|---|
[📚세미피디아] Hybrid Bonding, 하이브리드 본딩이란? (0) | 2024.04.15 |
[📚세미피디아] Direct bonding이란? (0) | 2024.04.15 |
[📚세미피디아] Through Glass Via (TGV 기술), 유리 기판이란? (0) | 2024.04.15 |
[📚세미피디아] System in a package란? (1) | 2024.04.15 |

https://www.youtube.com/watch?v=-9UobbD1loc

TC-NCF는 반도체 칩 사이에 NCF라는 필름을 덧대고 열과 압력을 가해 칩을 결합하는 공정이다. 삼성전자는 어드밴스드 기술을 적용해 얇은 반도체 칩을 많이 쌓을 때 발생하는 '휘어짐'을 최소화했다. 종전보다 얇은 필름(NCF)을 사용해 칩 사이 간격을 줄였고, 크기가 다른 범프(칩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돌기)를 적용해 열 방출 성능과 수율을 높였다.
업계는 삼성전자의 어드밴스드 TC-NCF 기술 개발을 의미 있게 평가했다. 기존 TC-NCF는 SK하이닉스가 적용한 MR-MUF 공정 대비 낮은 열 방출 성능 및 수율 등 단점이 지적됐는데 이를 삼성전자가 보완한 것이기 때문이다.
MR-MUF는 반도체 칩 사이 회로를 보호하기 위해 액체 형태의 보호재를 주입해 굳히는 공정이다. SK하이닉스도 과거에는 TC-NCF를 적용했지만 HBM2E(3세대)부터 독자 개발한 MR-MUF 공정을 채택했다. HBM3(4세대) 생산에는 어드밴스드 MR-MUF 기술을 적용해 공정 효율과 제품 성능 안정성을 높였다. SK하이닉스가 HBM 시장 1위를 유지하는 비결 중 하나로 MR-MUF 공정 도입이 꼽힌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4030413415923003
"삼성 '필름'이냐, 하이닉스 '액체'냐"…치열해진 '패키징 경쟁' - 머니투데이
HBM(고대역폭메모리) 시장 주도권을 쥐기 위한 '패키징 기술 경쟁'이 격화하고 있다. SK하이닉스가 독자 개발한 패키징 기술을 기반으로 4세대 HBM 시장을 선도하는 가운데 삼성전자는 SK하이닉스
news.mt.co.kr
https://www.chosun.com/economy/tech_it/2024/05/03/R2OOFKI4GVBKFOVO6YP7C4MI7I/
만년 2등서 AI메모리 1위로… 삼성 제치고 반도체 판 뒤집은 ‘하이닉스 매직’
만년 2등서 AI메모리 1위로 삼성 제치고 반도체 판 뒤집은 하이닉스 매직 AI반도체 올해도 내년도 완판 1분기 반도체 영업이익 삼성 추월
www.chosun.com
https://www.chosun.com/economy/tech_it/2024/04/25/RJDHH4SG7RGD7BZDGIQVOXX2XU/
칩 얼마나 잘 쌓고 조립하나… 나노 이어 ‘패키징 전쟁’
칩 얼마나 잘 쌓고 조립하나 나노 이어 패키징 전쟁 미세 공정 한계 봉착하자 반도체 대기업들 수조원씩 투자
www.chosun.com
https://www.chosun.com/economy/tech_it/2024/04/25/YN4K4FRESBF3ZMJMPXH6GI5NFU/
지금 앞서는 SK, 미래 노리는 삼성... HBM 공법결정적 차이는
지금 앞서는 SK, 미래 노리는 삼성... HBM 공법결정적 차이는 하이닉스, 한 번에 가열해 포장 삼성은 필름 한 장씩 깔아가면서 만들어
www.chosun.com
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22984
HBM 적층경쟁...삼성·SK "12단까지는 TC·MR본딩,이후 하이브리드본딩 적용"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생성형 AI(인공지능) 확산과 맞물려 고대역폭메모리(HBM) 수요가 폭증하는 가운데, 메모리 업계에서 적층 경쟁이 치열하다. HBM은 더 높이 쌓아 올릴수록 더 많은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다. 현재 HBM
www.thelec.kr
https://news.skhynix.co.kr/post/interconnection-for-advanced-packaging
어드밴스드 패키징을 견인하는 인터커넥션 기술의 가치와 SK하이닉스 패키징 기술 혁신
어드밴스드 패키징의 핵심은 패키징에서의 연결 즉, ‘패키징 인터커넥션(Interconnection)’ 기술이다. 이 글에서는 패키징 기술의 진화와 이에 기여하고 있는 SK하이닉스의 기술력 및 성과를 다뤄
news.skhynix.co.kr
삼성전자, 업계 최초 36GB HBM3E 12H D램 개발
삼성전자가 업계 최초로 36GB(기가바이트) HBM3E(5세대 HBM) 12H(High, 12단 적층) D램 개발에 성공하고 고용량 HBM 시장 선점에 나선다. 삼성전자는 24Gb(기가비트) D램 칩을 TSV(Through-Silicon Via, 실리콘 관통
news.samsungsemiconductor.com
https://dealsite.co.kr/articles/119413
SK하이닉스, MR-MUF 독점…삼성 'NCF' 유지 - 딜사이트
삼성전자, 서버용 D램 모듈에만 MUF 적용
dealsite.co.kr
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26617
[영상] NCF vs MUF...삼성 HBM을 둘러싼 소문과 진실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진행 : 디일렉 이도윤 편집국장출연 : 디일렉 노태민 기자 -반도체 얘기를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노태민 기자 모셨습니다. 안녕하세요.“안녕하세요.”-AI가 반도체 열기도 열풍이에요.“엔비
www.thelec.kr
'반도체 > 후공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미피디아] MR-MUF란? (1) | 2024.04.18 |
---|---|
[📚세미피디아] Hybrid Bonding, 하이브리드 본딩이란? (0) | 2024.04.15 |
[📚세미피디아] Direct bonding이란? (0) | 2024.04.15 |
[📚세미피디아] Through Glass Via (TGV 기술), 유리 기판이란? (0) | 2024.04.15 |
[📚세미피디아] System in a package란? (1) | 2024.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