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피디아 전체 글 목록 https://en.wikipedia.org/wiki/Fe_FET https://www.youtube.com/watch?v=1uEvZ2qkYEg&pp=ygUGZmUgZmV0 FeFET란? 강유전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Fe FET)는 물질이 게이트 전극과 소스-드레인 전도 영역(채널) 사이에 끼워져 있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한 종류이다. 강유전체 내의 영구 전기장 분극화로 인해 이 유형의 장치는 전기적 바이어스가 없어도 트랜지스터의 상태(켜짐 또는 꺼짐)를 유지할 수 있다. FeFET 기반 장치는 FeFET - 메모리 단일 트랜지스터 비휘발성 메모리의 한 종류 - 에 사용된다. 설명 1955년, Ian Munro Ross가 FeFET 또는 MFSFET을 위한 특허를 출원했다..
https://www.idec.or.kr/edu/apply/view/?&type=list&no=1953 metal oxide silicon P type 실리콘 work function - fermi level 까지의 깊이 p타입 반도체인데 밴드가 휘므로 홀이 deplete되어있는 상태가 됨 +전압을 가하면 밴드가 더 휘어짐 표면에 electron이 생성 - inversion된 electron channel에 의해 전류적인 동작이 가능해짐 아래 방향으로 휘던 애가 위로 휘게 됨 그 사이에서는 band가 flat한 구간이 나올것이다 그때의 전압을 flat band voltage라고 한다 표면을 보면 valence band edge에서 홀들이 많이 차는 것을 확인가능 surface accumulation이라고..
https://www.idec.or.kr/edu/apply/view/?&type=list&no=1953 가해진 전압이 low level injection n_p0는 p타입지역에 있는 전자 = 아래 그림의 -xp쪽 전자 n_n0는 n타입의 electron 농도 = Nd로 표시 p_p0는 p타입쪽의 홀 n지역에 있는 홀의 농도가 시간에 따라 얼마나 변화하는지 round pn / round t n쪽 홀의 농도의 분포 x가 클수록 홀은 점점 줄어든다 B exp 항은 별 의미가 없다 A exp항이 의미있음 diffusion length에 비해 길거나 짧을 때 Long base , Short base recombination이 되기 전에 이미 diffuse된다 lifetime이 무한히 늘어난다 diffusion에 ..
강의자료 출처: 한양대 김동우 교수님 컴퓨터네트워크 수업 컴퓨터네트워크 주차별 진도 참고영상 3주차 수업 - 프로토콜과 네트워크 아키텍쳐 4주차 물리계층 – 전송 매체, 패스로스 5주차 물리계층 – 채널코딩과 변조 7주차 데이터링크계층 – CRC와 ARQ 9주차 MAC계층 - WiFi 10주차 네 semi52.tistory.com 통신 프로토콜 계층구조 물리계층 (Physical Layer) 최하위 계층에 속하며 010101인 전기적인 신호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기계어를 전기적 신호로 바꿔주는 것. PDU: Bit 링크계층 (Link Layer) 네트워크 기기들 (컴퓨터겠지)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한다. 이런 것에는 이더넷, LAN, WIFI 같은 것들이 있다. PDU: Frame 네트워크계층 (Ne..
전자회로 스터디 1차시 큰그림 전자회로1,2 - 아날로그 회로를 공부하자 아날로그 회로는 Amp로 구성 amp는 뭐로 구성? 트랜지스터 bjt, mos로 구성 트랜지스터는 반도체 ntype ptype로 구성 반도체는 실리콘으로 구성 실리콘은 공유결합으로 구성 결론 amp를 동작시키면 아날로그 회로를 동작 amp를 컨트롤 = 반도체를 동작 반도체는 에너지를 줘서 작동 - 열, 전압 전류가 흐른다 = 작동한다 전류가 얼만큼 흐르냐 = 전자가 몇개가 움직이는지 공유결합 회로에서의 전자 = 자유전자 결합이 깨지는 이유 열에너지 흡수 - 진동 - 힘을 가짐 - 공유결합 깨짐 전자(자유전자)가 생기면 정공(hole)이 생긴다 캐리어 반도체 내 전류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것 에너지를 가지고 움직인다는 의미에서 캐리어라..
참고 영상: 과학쿠키 - 대체 맥스웰 방정식은 무엇일까? - 전자기학 Part 3 제 1법칙 : 전기장에 관한 가우스 법칙 전기장은 어떤 폐곡면 내의 전하의 총량에 비례합니다. 즉 어떤 구형의 폐곡면에서 그 공간 표면을 따라 들어오거나 나가는 전기장은 공간 내부의 전하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 E·dA 의 값이 양수이면 전기장이 빠져나가는 방향으로 존재한다는 뜻이고, 음수이면 전기장이 들어오는 방향으로 존재한다는 뜻입니다. "+전하와 -전하는 분리할 수 있다" 제 2법칙 : 자기장에 관한 가우스 법칙 어떤 특정한 폐곡면을 설정할 때 그 곡면을 빠져나가는 자기장과 들어오는 자기장의 양은 같다는 법칙입니다. 이는 자석이 N극과 S극으로 분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과 이어집니다. "N극과 S극은 쪼갤 ..